70세 넘는 고령자 6개월내 사망률은 일반 사망률보다 3~4배 높다 수술끝나고 귀가후에도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지방색전증등이 발생할수 있다, 2년후 사망률은 똑같다
수술을 안할경우 2~3개월간 누워있어야 하는데 이경우에는 심폐기능약화로 사망률 높다
골다공증이 있는경우 나사가 빠지는 경우가 있어서 몇개월간 잘 봐야된다
서있는경우 체중의 3배, 뛰면 체중의 10배 힘을 받는 부위다
소전자는 내측 안정성을 담당하는부위
보통 대전자 소전자 사이 금이 하나만 가면서 크게 벌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이 쉬우나(허벅지 옆을 열고 150도 정도로 벌어진 봉형 구조물넣고, femur 부위를 나사로 고정)
대전자, 소전자 각각 떨어져 나가서 조각이 4개 나는 경우 수술이 어렵다. 당겨도 제위치에 못가져다 놓는 경우 많다. 수술방법은 위와 같다
수술은 2주내에 하면차이가 없고, 수술보다는 수술전 환자 평가(폐기능, 혈압,당뇨등)가 더 중요하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16 | 민동수 | 121 | 2012.12.25 | |
15 | 민동수 | 129 | 2012.12.25 | |
14 | 민동수 | 72 | 2012.12.01 | |
13 | 민동수 | 96 | 2012.12.01 | |
12 | 민동수 | 79 | 2012.11.12 | |
11 | 민동수 | 82 | 2012.11.10 | |
10 | 1111 | 35 | 2014.03.12 | |
9 | 민동수 | 110 | 2013.11.23 | |
8 | 민동수 | 174 | 2013.06.11 | |
7 | 민동수 | 81 | 2013.06.11 | |
6 | 민동수 | 78 | 2013.01.20 | |
5 | 민동수 | 99 | 2013.01.20 | |
√ | 민동수 | 89 | 2013.01.19 | |
3 | 민동수 | 129 | 2012.12.31 | |
2 | 민동수 | 80 | 2012.12.31 | |
1 | 민동수 | 155 | 201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