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 증상및 치료 일지
  • 1111
    조회 수: 21, 2015.02.23 00:50:05
  • 아주오래전부터 가끔 1년에 한번씩 가슴이 타는듯한 통증 나타남, 특별히 문제 삼지 않고 넘어감


    2011년 5월 : 가슴이 답답한 증상

    angiography : 좌측 혈관 건강 , 우측혈관 spasm으로 관찰못함


    부산의료원에서 먹던약

    민홍기 과장님 처방 : 딜티아젬, 프레탈, 나푸롤정(이명약, 혈관확장제) , 크레스토정, 바스티난MR

    프레탈 : 이 약의 투여에 의해 맥박수가 증가하여 협심증이 발현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협심증의 증상(흉통 등)에 대한 문진을 주의깊게 실시한다(뇌경색 재발 억제효과를 검토하는 시험에서, 장기간에 걸쳐 PRP(pressure rate product)를 의미있게 상승시키는 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이 약 투여군에서 협심증이 발현된 증례가 나타났다(kmle.co.kr 검색)


    나푸롤정 : Naftidrofuryl (INN), also known as nafronyl or as the oxalate salt naftidrofuryl oxalate or nafronyl oxalate, is a vasodilator used in the management of peripheral and cerebral vascular disorders. It is also claimed to enhance cellular oxidative capacity. The drug act as a selective antagonist of 5-HT2 receptors (with action as an inverse agonist of the 5-HT2A receptor specifically characterized).[1][2][3] Naftidrofuryl is also licensed for the treatment of intermittent claudication due to peripheral arterial disease.

    바스티난 : Trimetazidine is a drug for angina pectoris sold under many brand names.[1] Trimetazidine is described as the first cytoprotective anti-ischemic agent developed and marketed by Laboratoires Servier (France). Trimetazidine is an anti-ischemic (anti-anginal) metabolic agent, which improves myocardial glucose utilization through inhibition of fatty acid metabolism, also known as fatty acid oxidation inhibitor.

    딜티아젬 : CCB Diltiazem works by relaxing the smooth muscle in the walls of arteries, resulting in them opening and allowing blood to flow more easily.[1] Additionally, it acts on the heart to prolong the period until it can beat again.[3] It does this by blocking the entry of calcium into the cells of the heart and blood vessels.[4] It is a class IV antiarrhythmic.[5]


    2014년 8월경 백두산여행 : 등산시 숨이차서 못올라감


    2014년 8월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어금니까지 아프다)

    -> 해운대 백병원 ergonovine test(우측혈관 50%정도의 협착이 있는곳이 있으나, 큰 문제가 없는 뉘앙스, 혈관경련이 주문제)


    먹던약 변경 : 아스피린, 아달라트오로스정, 시그마트, 크레스토정


    아달라트오로스 : Nifedipine is a calcium channel blocker. Although nifedipine and other dihydropyridines are commonly regarded as specific to the L-type calcium channel, they also possess nonspecific activity towards other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s.[20][21]

    Nifedipine has additionally been found to act as an antagonist of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or as an antimineralocorticoid.

    Nifedipine, sold under the brand name Adalat among others, is a medication used to manage anginahigh blood pressureRaynaud's phenomenon, and premature labor.[2] It is one of the treatments of choice for Prinzmetal angina.[2] It may be used to treat severe high blood pressure in pregnancy.[2] Its use in preterm labor may allow more time for steroids to improve the baby's lung function and provide time for transfer of the mother to a well qualified medical facility before delivery.[2] It is a calcium channel blocker of the dihydropyridine type.[2] Nifedipine is taken by mouth and comes in fast and slow release formulations.[2]

    Common side effects include lightheadednessheadache, feeling tired, leg swelling, cough, and shortness of breath.[2] Serious side effects may include low blood pressure and heart failure.[2] There is tentative evidence that its use in pregnancy is safe; however, it is not recommended during breastfeeding.[1]

    시그마트 : Nicorandil is an anti-angina medication that has the dual properties of a nitrate and ATP-sensitive K+ channel agonist.[6] In humans, the nitrate action of nicorandil dilates the large coronary arteries at low plasma concentrations.[6] At high plasma concentrations nicorandil reduces coronary vascular resistance, which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TP-sensitive K+ channel (KATP) opening.[6]

    Nicorandil stimulates guanylate cyclase to increase formation of cyclic GMP (cGMP).[7] cGMP activates protein kinase G (PKG), which phosphorylates and inhibits GTPase RhoA and decreases Rho-kinase activity.[7] Reduced Rho-kinase activity permits an increase in myosin phosphatase activity, decreasing the calcium sensitivity of the smooth muscle.[7]

    PKG also activates the sarcolemma calcium pump to remove activating calcium.[8] PKG acts on K+
     channels
     to promote K+ efflux and the ensuing hyperpolarization inhibits voltage-gated calcium channels.[6] Overall, this leads to relaxation of the smooth muscle and coronary vasodilation.

    The effect of nicorandil as a vasodilator is mainly attributed to its nitrate property.[6] Yet, nicorandil is effective in cases where nitrates, such as nitroglycerine, are not effective.[6] Studies show that this is due to its KATP channel agonist action which causes pharmacological preconditioning and provides cardioprotective effects against ischemia.[6] Nicorandil activates KATP channels in the mitochondria of the myocardium, which appears to relay the cardioprotective effects, although the mechanism is still unclear.[9]



    NTG 스프레이(가슴이 타는 듯한통증에는 효과있으나, 답답한 증상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후 증상이 심해지면서,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더 자주 나타남(숨도 찬느낌), 머리가 무겁다(통증은 아님 동시에 전신의 힘이 빠짐), 이명이 심화, 시력약화(돋보기로 티비를 보기 시작함) , 큰소리가 매우 거슬림


    정신과방문

     2주간 모든약 중단후 자낙스정만 복용

     2주동안 가슴이 편안했다

     2주 끝날무렵 가슴이 타는듯한 통증이 발생하여, 해운대 백병원 심장내과약 다시 복용시작


    자낙스 복용중단후 불면증발생


    가슴이 답답한 증상도 NTG 스프레이에 반응하기 시작함

    NTG 복용후에는 심장이 벌렁거리고, 머리가 욱신욱신함


    2월 20일 밤부터 모든약 중단(이유 : 최근 증상이 악화되는듯하였고, 정신과 방문시 약물중단기간이 더 편안했다)


    2015년 2월 21일밤,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무거운증상이 하루에도 여러번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NTG스프레이 한번에 2회 분사후 가슴 벌렁거림, 두통 발생, 이후에도 여러번의 가슴답답증이 발생 , 백병원 응급실 방문 : 혈압 110/70 , EKG(HR 51~55, incomplete RBBB 그외 정상), cardiac enzyme 정상, x-ray 심장크기 정상, blood chemistry정상, glucose 115), pulmican(pulmicort)네뷸라이져 try

    응급실에서도 2회정도 가슴답답한 증상이 있었으나, 이후 2시간정도 증상이 없어서 퇴원함

    집으로 오는길에도 증상 발생, 계단 10층정도 걸어올라옴 : 답답한 증상발생

    밤에 수면1시간 취함


    2월 22일 오후부터 증상호전, 눈이 잘보이기 시작함(평소에 돋보기를 써야 보이던 티비를 그냥보기 시작)

                    집에서 HR 체크 60~61회 checked


    CCB를 갑자기 끊을경우 증상악화될수 있다(kmle.co.kr 딜티아젬, 니페디핀)

    aspirin induced asthma (아스프린은 천식을 일으킬수 있다)

    aspirin : Acute coronary spasm 증상일으킬 수 있다.

    uptodate19.3에서 variant angina의 경우 aspirin은 조심스럽게 쓰고, 최선은 피하는 것이다. 라고 함(이유 1983년 논문 large dose aspirin이 variant angina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논문,하지만 low dose는 상관없다는 전남대 논문도 있다)

    plavix와 variant angina에 관해서는 논문이 없다.(pubmed검색에서 관련논문이 없음)

    프레탈 : 이 약의 투여에 의해 맥박수가 증가하여 협심증이 발현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협심증의 증상(흉통 등)에 대한 문진을 주의깊게 실시한다(뇌경색 재발 억제효과를 검토하는 시험에서, 장기간에 걸쳐 PRP(pressure rate product)를 의미있게 상승시키는 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이 약 투여군에서 협심증이 발현된 증례가 나타났다). (kmle.co.kr검색)


    치료계획(2월22일) : 모든약을 끊고, 이후 하나씩 추가(크레스토는 반드시 다시 try, 항혈전제는 ?

             약물치료 : 바스티난, 플라빅스?, 증상이 있을때만 NTG스프레이, 크레스토

     

    2월23일 : 잠을 잘잤고, 일찍자서 그런지 새벽에 깼음

                     아침에 증상이 있었으나, 골프연습장갔다 오심, 이후 증상호전

                     어제보다 낫다.

     


     현재의 판단사항

    머리의 미세혈관병때문에 프레탈(실로스타졸: 항혈소판제, 말초혈관확장효과있음)을 먹었고 (프레탈의 협심증 유발 부작용)

    그것때문에, 원래 있던 변이형협심증의 협심증증상이 발발했다. 그래서 가슴이 답답했고

    부산의료원에서 약을 처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별차도가 없었다. 그 이유는 프레탈을 계속먹었기 때문

    이때는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한달에 한두번정도 특히 내가 괜찮나 생각할때만 나타남


    그렇게 지내다가 가슴이 타는증상이 여러번 나타나서 백병원 방문했고, angio후 변이형 협심증 진단받았다

    이후 아스피린, 시그마트(니코란딜: 관상동맥확장제, 협심증의2차치료제), 아달라트오로스(니페디핀: ccb), 크레스토 처방받았는데

    약을 먹는 동안에 두통, 이명, 눈침침, 메스꺼움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이후 정신과를 방문하여 정신과의 조언대로 정신과약만 먹고, 다른약은 1주일간 끊었다.

    끊은 1주일간 가슴이 매우편안하다가, 마지막에 가슴찢어지는 증상이 있어서 다시 약복용시작함

    하지만 이증상들이 NTG를 복용후 나타나는  두통, 이명, 두근거림 증상과 매우 비슷하다.

    답답함, 두통, 이명, 가슴찢어지는 통증등이 심해서 혹시 약이 안맞아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이 들어서 약을 stop했고, 그날 저녁 증상이 가장 심하여 응급실 방문했음. (이때는 한기가 들고, 힘이 없고, 창백해 보였음) 응급실 검사 결과 : lab정상, EKG : bradycardia 51~55회 , incomplete RBBB.

    응급실에서 돌아오면서 계단을 올라가는 self test시행- 3층만 올라가도 가슴이 답답해짐

    약은 계속끊었고, 응급실 갔다온 다음날부터 증상호전HR61회, 그다음날도 더 좋아짐HR 63회(하지만, 아직 가슴답답한 증상은 조금씩 있음)-계단올라가기 self test(17층)를 시행하였고 -10층을 올라가니 조금 가슴이 답답함- 나머지 층은 빠르게 올라감-역시 가슴이 답답함


    심장내과 방문함 : 심장내과의 설명 : 응급실을 방문한 증상은 협심증이 아니다. 가슴답답한 증상도 협심증이 아니다.(여기서 아버지가 화나심)

                                    아달라트는 끊으면 심근경색올수 있다. 이약만은 먹어야 한다.


    아버지의 의문점 : 변이형 협심증이라면 계단을 올라가면서 통증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데 왜 나타나느냐? 그렇다면 일반 협심증이 겹친게 아니냐?

                                    2. 가슴이 답답한 증상은 NTG스프레이에 효과가 보통 없었다가, 최근에는 효과가 일부 있었다. 하지만 가장 마지막으로 한때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것은 협심증이 아닌가? 효과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나도 모름

    시나리오1

     원래 변이형협심증은 있었지만, 평생 모르고 살았다. 미세혈관병때문에 프레탈을 처방했고, 프레탈의 협심증 유발 부작용으로 가슴답답함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부산의료원에서 angio시행후 지속적으로 프레탈을 복용했으니, 지속적으로 증상이 나타났다.

     백병원에서 처방한 약이 안맞아서 심장이 힘들어했다면.(아스프린의 경련유발효과, 시그마트가 그냥 안맞아서(NTG뿌린후 생기는 증상과 비슷하므로))

     최근 나타난 계단올라가면서 발생한 통증이 혈관이 좁아져서 생긴것이 아니라, 약이 심장을 힘들게해서 지친것이다.  약을 stop한 상태에서 점점좋아진다면 일반협심증이 아니다.

     약을 계속끊는다면 힘들게 하는 약이 없으므로 증상은 점점 좋아질 것이지만, 변이형 협심증이 있으므로 가끔씩은 증상이 나타날 것이다.  이때 아달라트를 먹어보자. 먹고나서 가슴찢어지는 증상과 가슴답답함이 동시에 없어진다면, 가슴답답함도 협심증의 증상이다.

     하지만, 가슴찢어지는 증상만 없어지고 가슴답답함은 남아있다면, 가슴답답함은 협심증의 증상이 아니다.


    시나리오 2

      변이형 협심증에 일반협심증이 병발한 것



    2020 3월13일 대동병원입원

    3주전부터 귀통증이 있어 local에서 약처방받고 먹다가 중이염은 호전됨, 그러나 3일전부터 이명이 심해져서 아래의약들을 처방받아 먹기 시작하였고, 이후 두통,구역감,가슴답답, 계단오를시 호흡곤란증상이 나타났고, 너무심해져서 13일에 대동병원입원함. 입원전날밤까지 먹었음

    그리고 식도염증세도 있는듯하여 원래가지고 있던 식도염약(엠프라캡슐:오메프라졸, 가스티인씨알정: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을 비슷한시기에 아래의 처방약들과 동시 복용하였음.

    KakaoTalk_20200313_174342728.jpg

    슈도에페드린 : Pseudoephedrine. It is a sympathomimetic drug of the phenethylamine and amphetamine chemical classes. 슈도에페드린은 코막힘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이다코 점막의 교감신경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코 점막의 혈관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한다감기나 상기도의 각종 질환으로 인한 코 점막의 충혈(비충혈)이나 부어오름 등으로 인한 코 막힘 증상을 완화한다그 밖에도 교감신경 흥분작용으로 기관지 근육의 이완 작용과 심장 박동 수 증가심장의 수축력 강화 작용도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슈도에페드린 (약학용어사전)

    네오투스 : Levodropropizine is a cough suppressant. It is the levo isomer of dropropizine. It acts as a peripheral antitussive, with no a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1] It does not cause side effects such as constipation or respiratory depression which can be produced by opioid antitussives such as codeine and its derivatives.

    타이리콜 :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전립선 비대증 트루패스(실로도신 selective a1 antagonist: 전립선에 선택성이 높아 alfuzosin보다 심혈관계부작용이 적다) 오랫동안 먹다가 자이가드(두타스테라이드) 추가했음(2020-3-14일 현재에 아버지한테 문의했더니)

     

     

     

                                      








엮인글 0 http://dsmin.net/xe/1840/f5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 1111 9 2015.03.25
38 1111 14 2015.03.19
37 1111 12 2015.03.18
36 1111 14 2015.03.13
35 1111 9 2015.03.13
34 1111 9 2015.03.13
33 1111 10 2015.03.13
1111 21 2015.02.23
31 1111 13 2015.01.30
30 1111 11 2015.01.25
29 1111 8 2015.01.21
28 1111 9 2015.01.11
27 1111 12 2015.01.11
26 1111 8 2015.01.11
25 1111 15 2014.12.29
24 1111 41 2014.08.26
23 1111 48 2014.08.26
22 1111 30 2014.08.01
21 1111 51 2014.06.02
20 1111 60 2014.04.17
태그